건조후 발생되는 결함 상세보기
종 류 |
현 상 |
발 생 원 인 |
방 지 대 책 |
1.핀 홀 |
도료를 도장할 때 도막에 바늘로 찌른듯한 조그만 구멍이 생긴 현상 |
1)하지 도막에 이미 핀홀이 있 그위에 두껍게 도장 했을때 2)급격한 가열 3)용제의 증발이 너무 빠를 때 4)두꺼운 도막의 급격한 가열 5)피도물 자체의 온도가 높을 때 6)점도가 높은 도료를 스프레 이하면 도막에 기포가 형성 될 수 있다 |
1)상도전에 하지도막을 충분 히 검토하고 핀홀이 있을 경우 퍼티로 보수 2)급격한 가열을 피한다 3)규정의 신나를 사용 4)규정의 도막두께로 도장 5)피도물의 온도는 섭시50도 이하로 6)규정의 점도로서 스프레이 도장 |
2.끓음,발포 |
도막건조시 용제의 증발에 의하여 도막중에 거품상의 끓음이나 구멍(핀홀보다는 큼)이 발생,도료로서는 알키드수지계,폐놀계 수지등 축합형의 도료계에 비교적 많다 이유는 반응하여 발생하는 가스,또는 증발이 빠른 용제를 많이 함유하고 있기때문이다 |
1)하도의 경화가 불충분한 채 상도를 건조시키면 하도의 잔류용제,반응생성물 끓음을 생기게 한다 2)피도물의 전처리가 불충분하 면 잔류용제 수분등이 건조 시 발포의 원인이 된다 3)기타 발생원인은 핀홀과 동일하다 |
1)하도를 충분히 경화 시킨다 2)피도물의 완벽한 전처리 3)묽게 희석 mist-coat한 후 본도장을 실시한다 |
3.메탈릭얼룩 (metallic mark) |
메탈릭도료(알리미늄분 함유도료)를 칠했을 때 금속분이 균일하게 배열되 지 않고 반점상,물결모양등 을 만드는 현상 |
1)신나의 증발이 너무 늦을때 2)도료의 유전성(레버링)이 너무 양호할 때 3)도장점도가 낮을 때 4)한번에 너무 두껍게 도장 했을 때 |
1)규정에 신나를 사용 2)압력은 높게,유량은 적게, 건의 운행속도는 빠르게, 피도면과의 거리는 멀리하 여 도장 3)규정의 점도로 작업 4)(2항과 동일) |
4.황 변 (yellowing) |
가열 건조가 과도하게 된 경우 도막이 누렇게 변색 되는 현상 |
1)가열 건조시 고온,장시간 2)내열성이 불량한 전색제 착색제의 사용 |
1)규정의 조건으로 가열 2)규정 도료 사용 |
5.건조불량 (lack of drying) |
도막이 규정된 시간에 단단하게 경화되지 않은 것, 미 건조된 도막을 포리싱하면 광택이 저하됨 |
1)왁스나 실리콘,기름등이 소지에 잔존 2)가열건조 조건이 미달 3)신나의 부적합 4)한번에 너무 두껍게 도장 5)고습도,환기불량 (특히 유성계 자연건조형 도료) |
1)소지면을 청정하게 한다 2)규정의 조건으로 건조 3)규정의 신나 사용 4)과도막을 피할 것 5)환기를 좋게하고 약간기온 6)건조제 첨가후 사용 |
6.후첨착 (After tack) |
일단 경화된 도막이 다시 연화 되어 끈적끈적한 현상이 나타나는 도막의 결함(자연건조형 도료에서 주로 발생) |
1)도막이 너무 두꺼운 경우 상부만 건조되었을시 2)유성계 도료를 저온에서 건조시켜 태양에 노출 시켰을 때 3)플라스틱 도장시 소재가 전이된 경우 4)저융점,고형수지 사용 도 료에 열과압력을 가할 때 |
1)규정된 두께로 도장 2)적정 조건에서 건조 3)소재 재검토 4)용도에 적합한 도료 선택 |
7.부착불량 |
도막이 피도면에서 쉽게 벗겨지는 상태 |
1)부적합한 도료 사용 2)전처리의 불충분 3)도장사양의 부적합 4)저온 상태에서 도장 (도료의 밀착성 나쁘다) 5)고습도 하에서 수분 영향 6)도료의 불충분한 교반사용 7)화성처리의 미비 8)규정의 도막두께,건조조건 |
1)규정의 도료사용 2)탈청,탈지.샌딩등 규저의 조건준수 3)도장사양 재검토 4)규정의 온도에서 도장 5)고습도 하에서는 도장을 피할것 6)침전이 없더라도 충분히 교반 7)표준 조건에 따라화성처리 |
8.브론징 (bronzing) |
도막이 금빛같이 특유한 금속광택을 내는 현상(레이트 레드,프탈로시아닌계 안료에 주로 나타나는 현상으로 안료의 도막내부 이행에의해 생기는 현상 |
1)수지와 안료의 굴절류차가 크거나 불완전한 분산 2)백아화 도막의 불균형 수 지간의 차이,안료간의차이 3)도장조건(습도,온도,시간) 의 불완전 4)저온상태에서 도장 |
1)도료의 교체 2)규정 도료 사용 3)도장조건 준수 |
9.하지의흡입 |
상도를 칠했을때 하지의 도료가 과도하게 흡수되어 광택이 저하 되거나 살오름성이 부족한 현상 |
1)안료 함량이 많은 하지 도막위에 도장 |
1)상도를 두껍게 도장 하거 나 2회 도장한다. |
10.주름,축문 |
단독도막 또는 중복도장시 건조과정에서 도막에 주름이 생기는 현상은 축문상,불규칙 선상,평행선상 등이 있다 |
1)단독도막의 경우 코트계의 건조제가 과잉투입되겨나 도막이 너무 두꺼울 때 2)상도도료의 신나가 용해성 이 지나치게 강할 때 3)하도도막 건조가 덜 되었 거나 부착성이 나쁠때 4)하도와 상도의 도장 시방이 부적합할때 |
1)규정의 두께로 도장 2)상도도료 신나의 용해성을 조절한다 3)하도도막을 충분히 건조 시킨 후 상도도장 4)하도,상도 사양을 선정시 충분히 검토한다(유성계 하도위에 락카계 상도 부적합 |
11.가스책킹 |
도막이 건조될때 연소성가스의 영향을 받아 도막표면이 주름,축문,광택소실 현상을 일으킨다.(가열 건조형 도료에만 발생됨) |
1)연소가스중의no,so,등 산소 가스 성분이 도막표면의 건조를 촉진함으로서 발생 2)피도물의 탈지세정에 사용 되는 트리크로로에치렌이 피도물에 남아 있거나 건조로에 스며들었을때 3)건조중에 습기나 수분이 있어 건조시 도막표면에 수증기로서 접촉되었을때 4)한번에 너무 두껍게 도장 5)고습도,환기불량 (특히 유성계 자연건조형도료 |
1)배기가 잘되게 하고 불완 전한 연소가 없도록 할 것 2)분해가 쉬운 트리크로로 에치렌등을 건조로 부근에 서 사용하지 말것 3)건조로를 가열하여 수분을 제거한 후 사용한다 |
12.광택부족 |
건조후 도막의 초기광택이 부족한 현상.
|
1)안료의 분산의 불충분 2)도료성분의 상용성 불량 3)신나 용해력 부족 4)소지의 흡수 5)하도도막의 건조 불충분 6)가스책킹,백화현상 7)하도도막의 안료분리 과다 8)상도도막의 도막두께 부족 9)하도의 연마 부족 10)도료의 교반 부족 11)가열조건의 과도 12)하도의 선택 과오 |
1)2)규정도료의 사용 3)규정신나의 사용 4)소지조정 5)규정조건의 건조 6)결함 7항및 리타다 신나 사용 7)규정하도 사용 8)규정도막두께로 도장 9)규정 조건대로 연마 10)충분한 교반 11)가열조건 준수 12)하도의 정확한 선택 |
x-text/html; charset=EUC-KR" width=587 src=http://paintman.hosting.paran.com/allpaintbanner.swf>
벽지페인트 노루페인트 노루표페인트 방수 우레탄 아파트인테리어 리모델링 칠공사 페인트도장 욕실인테리어 수성페인트 벽지 포인트벽지 방수공사 에폭시공사 방수시공 에폭시 에폭시바닥공사 옥상방수공사 에폭시라이닝 천연페인트 건축도장 드라이비트 페인트 페 인트 페인트추천 옥상우레탄방수 칠 인테리어 인테리어공사 홈인테리어 집수리 오일스테인 탄성코트 외벽방수 에폭시방수 방수제 황토페인트 KCC 내화페인트 베란다곰팡이 페인트조색 페인트칠가격 페인트견적 펄코트 특수페인트 집안페인트칠 에나멜페인트 실리콘페인트 분체도장 미끄럼방지 광촉매코팅제 아파트리모델링 실내인테리어 paint 구리시 페인트/남양주시 페인트/방수 업체/페인트 업체/쫄라톤도장 업체/옥상 방수/우레탄 방수/수성 페인트/도장공/친환경 페인트/인테리어 도장/ /건축도장 조광표 페인트 루벤스톤 메탈릭 무늬텍스 삼화페인트 제비표 페인트 고려 페인트 에어리스 뿜칠 광텍스서울시페인트 강동구페인트 중랑구페인트 노원구페인트 도봉구페인트 동대문구페인트 의정부시페인트하남시페인트
방수 방수공사 페인트 페인트공사 광화문 광희동 교남동 교대 교북동 구기동 구로동 구로구 구룡동 구리시 구산동 대림동 대방동 대야미 대조동 대청동 대치동 대현동 대화동 대흥동 덕계역 덕정동 도곡동 도림동 가능동 가락동 가락시장 가리봉동 가산동 남구로역 남대문 남동 남동구 당인동 당주동 대곡동 어린이대공원 도림천 두정동 둔천동 등촌동 뚝섬 마곡 마두동 마장동 마포구 마포구청 정왕동 제기동 제물포 종각 종로 용산구 용산동 용인시 우면동 우이동 우장산동 원남동 원당 원당역 원동 원서동 원지동 원효로 월계동 응암동 의왕시 의정부시 의정부역 이대입구 이대역 이문동 이천시 이촌동 이태원 이화역 익선동 인덕원 인사동 인의동 구산동 가양동 가평시 가평군 가희동 갈월동 갈현동 강남구 강남 공항동 과천 과천시 관수동 관악구 관악동 관철동 관희동 광나루 광명시 광장동 광진구 광진동 구수동 구의동 강변역 구파발 군자동 군포 내자동 냉천동 노고산 노량진 노량진동 노원구 노원 노유동 녹번동 녹사평 녹사평역 녹양동 부평구 부평역 북가좌동 부평시장 북구 북아현동 북창동 분당 불광동 상도동 상록수역 상봉동 면목동 명동 명륜동 명일동 명학동 모란동 모란역 목동 몽촌토성 묘동 무교동 발산역 방배동 온수역 와룡동 왕십리 외대앞 외대역 외발산동 종암동 주교동 주안역 주엽동 인천시 인현동 일산시 일원동 임학동 입정동 자양동 잠실 잠실역 잠원동 장승배기 용강동 용답동 용두동 용마산 용산구 용산동 방이동 방학동 방화동 백석역 버티고개 번동 범계 보람매 봉천동 봉화산역 부개동 부암동 월계동 월곡동 은평구 은평동 을지로 응봉동 응암동 장안동 장위동 장암동 장지동 장충동 장한평역 장한평 장흥 재동 저동 전농동 정동 정릉동 정발산 서현 석계 석계역 소사 소사역 도봉구 도봉동 동숭동 동작동 수색 수색역 수서동 수원시 수원역 수유동 숙대입구 숭인동 시청 시청역 시흥 시흥동 신금호 신길동 신내동 신답동 신대방 신도림 신림동 신사동 신설동 신수동 신이문역 신정동 신촌동 신촌역 신풍 신풍역 신흥동 쌍림동 쌍문동 아차산 아현동 안국동 안산시 안산역 마포 만리동 망원동 망우동 망월사 매동 안암동 안양시 여의도 무학동 무악재 묵동 묵정동 문래동 문정동 반포동 미아역 발산동 범계역 보광동 봉천동 부천역 부천시 제기동 금정동 금천구 금호동 남성동 남양주시 남영동 남태령 내발산동 내방역 녹양동 답십리 당고개 당산동 강남역 겨여동 건대입구 고덕동 고려대 사가정 사근동 사당동 사직동 산본동 삼각지 삼선동 삼성동 삼송동 삼전동 삼천동 상계동 상도동 상봉역 상수동 상암동 상왕십리 상월곡 서교동 서구 서대문 석관동 석계역 석촌동 선릉역 성균관대 성남시 성내동 성동구 성북구 성산동 성수동 세곡동 세류동 도봉산 도봉동 독립문 독바위 독산동 돈의동 돌곶이역 동작구 동작동 송파구 송파동 수내역 수락산 수유동 사당동 신용산 신월동 양재동 양천구 양평동 양평구 양평시 양화동 미금역 미아동 방산동 영등포구 영등포역 오금동 녹천동 논현동 누하동 능동 다동 답십리 강동구 강북구 강서 강서구 강일동 개룡동 개봉동 개포동 경기도 경마공원 경복궁 경원대 고덕동 고려대 고양시 공덕동 공릉동 금호역 길동 길음동 김포공항 낙성대 낙원동 남가좌동 남구 돈암동 동작동 마곡동 마장동 마들역 마두역 마천동 서대문구 서린동 서빙고 서소문 서울 서정리 서초동 동교동 동구동 동대문 동두천 동묘 동빙고동 동선동 동소문동 안양시 암사동 압구정동 애오개방수 야탑동 약수동 남구로역 여의도동 양재동 역곡역 역삼동 역촌동 연남동 연수구 연수동 연신내 연희동 염곡동 염리동 염창동 영등포구 영등포 매봉역 먹골역 오금동 오류동 오륜동 오리동 오목교 오산시 옥수동 온수역 보문동 부평시 정왕동 후암동 주엽역 주엽동 중계동 중곡동 중구 중동 중랑구 중화동 증산동 지축 퇴계원 파주 판교 평창동 팔판동 평촌 하계동 하남 하남시 학동 학여울 한강 홍대 홍제동 화곡동 화랑대 화서역 화정동 황학동 회기동 효창동 휘경동 흑석동 흥인동 지행역 직산역 진관내동 진관외동 진관동 창동 창신동 창전동 천왕동 천호동 철산리 철원 청계천 청구역 청담동 청량리 청운동 청진동 청파동 춘천시 충정로 충신동 풍납동 필동 하계동 한남동 한양대 합정동 행당동 현저동 혜화동 홍대입구 홍은동 회기동 회룡동 회현동 효자동 방수 방수공사 페인트 페인트공사
'5.도장작업 자료실 > -일반사항' 카테고리의 다른 글
페인트 칠 하는 방법 (0) | 2013.10.30 |
---|---|
장기간 경과 후 발생되는 결함 (0) | 2013.10.29 |
건조중 도막에 생기는 결함 (0) | 2013.10.25 |
도장중 발생하는 결함 (0) | 2013.10.25 |
도료 자체에서의 결함 (0) | 2013.10.24 |